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딸기 수확마저 가능한 로봇 농부: 농업의 새로운 혁명

by 나의주식은 2024. 8. 27.
반응형

딸기는 그동안 로봇 농부가 다루기 어려운 작물로 여겨졌습니다. 껍질이 없고 모양도 제각각인 딸기를 손상 없이 수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높은 난이도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어려움이 해결되면서, 딸기마저 로봇에 의해 수확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 기술적 혁신은 농업 분야의 ‘마지막 숙제’를 해결하며, 농업의 미래를 크게 바꾸고 있습니다.

농업에서 로봇의 역할 증가

일본의 야스카와전기는 산업용 로봇팔 ‘모토맨’을 개량해 딸기 수확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이 로봇은 고성능 카메라 센서와 이산화탄소 감지 기술을 이용해 익은 딸기만 골라 수확합니다.

 

딸기가 익을수록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수한다는 특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또한, 자동 압력 조절 기능을 통해 딸기를 적절한 힘으로 쥐고, 손상 없이 바구니에 담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모토맨은 한 시간에 약 60개의 딸기를 수확할 수 있으며, 앞으로 학습을 통해 수확 속도를 더 높일 계획입니다.

 

일본의 농업 로봇 사용은 고령화 사회의 직접적인 결과입니다. 일본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전체의 29.1%에 달하며, 농업 분야는 젊은 노동력이 부족해 고령층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 로봇은 필수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야스카와전기 외에도 덴소와 티무수크 같은 기업들이 토마토 수확 로봇과 벼농사 로봇을 개발해 농업 자동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로봇 농업의 상용화와 시장 전망

그동안 농업 로봇의 상용화가 어려운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산업용 로봇과 달리 농업 로봇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작물을 다루어야 하며, 농사 시즌에만 사용된다는 점 때문에 경제성이 낮다고 평가받았습니다.

 

그러나 인공지능(AI) 기술과 다기능 로봇팔을 통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며, 농업 로봇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세계 농업용 로봇 시장은 2021년 76억 달러에서 2026년 185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과 북미의 농업 로봇 도입 필요성

한국은 농촌 고령화가 심각하지만, 아직 농업 로봇이 널리 도입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일본과 같은 농업 로봇 기술을 도입해 농업 붕괴를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편, 북미에서는 대형 농장을 중심으로 제초 작업을 포함한 다양한 농업 활동에 로봇이 점차 사용되고 있습니다. 로봇을 이용한 제초 작업은 공중에서 살포하는 화학 제초제의 위험을 줄이고, 토양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관련주 및 선정 근거

야스카와전기 (6506.T)

선정 근거: 야스카와전기는 딸기 수확 로봇을 포함한 다양한 농업용 로봇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농업 자동화가 필수적이 되어감에 따라 야스카와전기의 농업 로봇 기술은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덴소 (6902.T)

선정 근거: 덴소는 토마토 수확 로봇 ‘아테미’를 개발하는 등 농업 로봇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덴소의 모터 기술과 자율주행 기능은 다양한 농업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존디어 (DE)

선정 근거: 미국의 농업 장비 제조업체인 존디어는 제초 로봇과 같은 첨단 농업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농업 자동화의 선두주자로서 북미와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경제 용어 해설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 시스템이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농업 로봇에 AI를 적용하면 작물의 상태를 인식하고, 수확 시기를 결정하며, 최적의 수확 방법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인구 중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7%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를 말합니다. 일본은 초고령화 사회로 분류되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봇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요약 및 결론

농업 로봇의 발전은 딸기 수확과 같은 난이도 높은 작업까지 자동화할 수 있게 하며, 농업의 미래를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고령화와 젊은 층의 농업 기피 현상에 대응해 농업 로봇은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국과 북미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농업 로봇 도입을 확대해 농업 붕괴를 막고,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